서버 호스팅 vs 클라우드 서버 차이점(2편)
웹사이트를 만들 때에는 서버를 결정해야 합니다. 서버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하며 호스팅 방식, 클라우드 방식이 대표적입니다. 오늘은 두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버 호스팅 이란?
서버 호스팅은 말 그대로 서버 한대를 임대해서 사용하는 방식 입니다, 예를들면 내가 원하는 사양의 컴퓨터를 IDC 센터에 두고 원격으로 조종하는 느낌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서버 호스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물리적 서버를 통째로 빌립니다.
- 관리나 유지보수는 호스팅 업체에 맡기기도 하고, 직접하기도 합니다.
- 주로 트래픽이 많고, 보안이 중요하거나,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경우 사용합니다.
클라우드 서버란?
클라우드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가상서버(VM)를 빌리는 것입니다.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구독형 서버라고 생각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클라우드 서버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물리적인 서버가 아니라, 가상화된 서버로 필요에 따라 증설이 필요할 경우 즉시 대응이 가능하며 확장성과 유연성이 좋습니다.
- 필요한 사양을 선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비용만 지불합니다.
서버 호스팅 vs 클라우드 서버 비교
항목 | 서버 호스팅 | 클라우드 서버 |
형태 | 물리적 서버 | 가상화된 서버 |
비용 | 월 정액제 | 사용량 기반 과금 |
유연성 | 낮음(스팩 고정) | 높음(탄력적 설정) |
확장성 | 하드웨어 교체 필요 | 클릭 몇번으로 확장 가능 |
초기세팅 | 시간 오래 걸림 | 빠른 구축 가능 |
유지보수 | 직접 or 업체 | 대부분 자동화 |
보안설정 | 깊이 있게 가능 | 보안정책 독자적 구성 필요 |
서버 선택 가이드
서버 호스팅이 좋은 경우 | 클라우드 서버가 좋은 경우 |
웹사이트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많음 | 트래픽 변동이 심한 서비스 |
보안, 커스터마이징이 중요한 기업용 서비스 | 개발, 테스트 등 빠르게 환경 세팅이 필요할때 |
정해진 예산으로 서버 운영이 필요할때 | 스타트업, 1인 개발자 등 가볍게 시작하고 싶을때 |
서버호스팅은 직접 집 사는 느낌, 클라우드는 쉐어 하우스 처럼 유연한 공간 이라고 생각 하면 쉬울거 같습니다. 각자 상황에 맞는 서버를 선택 하시 바랍니다. 다음편은 가상서버 VP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