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서버(VPS)의 개념과 활용법(3편)

IT세상0001 2025. 5. 22.

서버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VPS(Virtual Private Server)에 대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이번편은 VPS의 개넘부터, 언제 어떻게 써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PS란?

VPS는 ‘가상 사설 서버’의 줄임말 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한 대의 물리적인 서버를 여러 개로 나눠서,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공간처럼 제공하는 서버 입니다. 즉, 하나의 진짜 컴퓨터(물리 서버)를 여러 개의 작은 가상 서버로 나누는 것이지요. 각 가상 서버는 CPU, 메모리, 디스크 공간을 나눠서 할당받고, 개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VPS와 공유 호스팅, 서버 호스팅, 클라우드의 차이

VPS는 공유 호스팅보다 독립적이면서 서버 호스팅 보다 저렴합니다. 그래서 1인 개발자, 스타트업, 소규모 웹사이트 운영자들이 주로 많이 사용 합니다.

독립성 O (가상으로 분리됨) X (다 같이 씀) O (물리 서버 통째로) O (가상, 유연함)
성능 중간 낮음 높음 유동적
비용 저렴~중간 저렴 비쌈 유동적
확장성 제한적 거의 없음 어려움 매우 쉬움
관리 편의성 적당함 매우 쉬움 어렵지만 자유도 높음 자동화 가능
 

VPS가 쓰이는 곳

VPS는 많은 곳에 다양하게 활요되고 있습니다.

    • 웹사이트 운영 - 워드프레스, 쇼핑몰, 포트폴리오 사이트 등 
    • VPN 서버 구축 - 보안 걱정 없이 해외 접속
    • 게임 서버 운영 - 나만의 마인크래프트 서버 등 
    • 파일 백업 서버 - 중요한 파일 안전하게 보관 등
    • 개발/테스트 환경 - 내 컴퓨터가 아닌 다른 컴퓨터로 테스트 하고 싶을때  등

VPS 가격

VPS는 보통 월 5,000원~15,000원 사이에 구독 가능 합니다. 다만 사양이 높아지면 가격도 올라 갑니다.

대표적인 VPS 서비스 업체는 카페24 VPS, 루나서버, Vultr, DigitalOcean, AWS Lightsail 등이 있습니다. 

 

VPS는 공유 호스팅이 너무 느리거나, 내 서버에 직접 프로그램을 셋팅하거나, 리눅스 명령어를 할줄 알거나, 트랙픽이 있지만 예산이 별로 없거나, 백엔드 서버에서 테스트를 하고 싶을때 고려할 수 있습니다. VPS는 가성비, 성능이 좋고, 자유도도 높아서 입문용 서버로 적합합니다. 그럼 다음편에서는 서버 셋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