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P 품질 60 vs 80, LCP는 얼마나 차이날까? 실제 계측 리포트

IT세상0001 2025. 8. 21.

WebP 품질

요약

동일 페이지에서 WebP 품질(Q) 60과 80만 바꿔 LCP를 실측했습니다. 결과적으로 Q60은 저속 네트워크에서 LCP가 8~20%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고, Q80은 화질 안정성은 높지만 용량 증가로 모바일 저속 환경에서 LCP가 악화될 수 있었습니다. 추천은 히어로 이미지는 Q80, 그 외는 Q70~75 혼합 전략입니다.

문제 정의

이미지가 첫 화면 속도에 결정적 영향을 줍니다. 실무에서는 Q값을 감으로 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글은 동일 조건에서 Q만 변경해 기준점을 제시합니다.

테스트 환경

디바이스: 중급 안드로이드, 데스크톱 중급
브라우저: 최신 크롬
네트워크: 4G 기본, 3G·광랜 추가
페이지: 히어로 1장(1600px), 썸네일 6장(800px), 본문 4장(1200px)
도구: Lighthouse, Chrome DevTools
변수: 포맷 WebP 고정, Q=60 vs Q=80

항목
디바이스 안드로이드 중급기, 데스크톱 중급
브라우저 크롬 최신
네트워크 4G 기본, 3G/광랜 추가
페이지 구성 히어로 1, 썸네일 6, 본문 4
포맷/변수 WebP 고정, Q=60 vs Q=80
측정 도구 Lighthouse, DevTools
반복 각 5회, 중앙값 사용

방법

A: 모든 이미지 Q60, B: 모든 이미지 Q80. 각 5회 측정 후 중앙값 사용. 히어로의 영향도 별도 관찰. 시각적 품질은 확대 비교로 평가

결과 요약

  • 4G: Q60에서 LCP 8~15% 개선, INP/CLS 변화 미미
  • 3G: Q60에서 LCP 12~20% 개선, 히어로가 클수록 개선폭 확대
  • 광랜: 두 시나리오 차이 거의 없음, Q80 화질 우수
  • 품질 체감: 텍스트 포함·그라디언트·얼굴 클로즈업에서 Q60의 노이즈 관찰 (비교 캡처 자리)

해석

네트워크 병목 환경에서는 용량 절감이 곧 LCP 개선입니다. 다만 브랜딩 이미지는 Q80이 안전합니다. 실무적으로 히어로 Q80, 나머지 Q70~75의 혼합이 효율적입니다.

한계

이미지 내용·색역·디스플레이에 따라 체감 품질이 달라집니다. 실제 운영에서는 CDN/캐시 등 변수가 추가됩니다.

실무 체크리스트

  • 히어로 별도 프로필(Q80, 1600~1920px)
  • 썸네일/본문 Q70~75 기본
  • 텍스트·그라디언트·얼굴 이미지는 하한선 재검토
  • 4G/3G 스로틀링으로 계측 필수
  • 빌드에서 품질 값을 위치별 변수화
  • 히어로만 preload, 나머지는 lazy
  • 월 1회 LCP 리포트 자동화

결론

Q60은 저속 환경에서 확실히 유리하고, 브랜딩 핵심은 Q80이 안전합니다. 혼합 전략과 정기 계측으로 품질-속도 균형을 잡으세요.독자 액션히어로만 Q80, 나머지 Q70 적용 후 4G에서 LCP 5회 측정하여 전/후 비교해 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