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 트러스트 보안(Zero Trust Security) 모델이란?
제로 트러스트의 등장 배경
제로 트러스트 보안(Zero Trust Security)은 “아무도 신뢰하지 않는다(Trust No One)”라는 원칙을 기반으로 합니다. 과거에는 기업 내부 네트워크만 안전하다고 가정하고, 방화벽 안쪽은 신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사용 확대, 원격 근무 증가, 모바일 기기의 보편화로 네트워크 경계가 사라지면서 기존 보안 체계는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공격자는 내부 시스템에 한 번 침입하면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었고, 이는 대규모 보안 사고로 이어졌습니다.
제로 트러스트 보안의 핵심 원칙
제로 트러스트 모델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내부에 있든 외부에 있든 항상 신뢰하지 않고, 모든 접근을 검증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그 핵심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상 검증(Verify Always): 내부 사용자라도 접속할 때마다 인증과 권한 확인을 거쳐야 합니다.
-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 사용자는 업무에 필요한 최소한의 자원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지속적 모니터링(Continuous Monitoring): 사용자의 행동과 기기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이상 징후를 탐지합니다.
이 원칙을 통해 제로 트러스트는 공격자가 내부에 침투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하고, 빠른 탐지와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됩니다.
구현을 위한 기술 요소
제로 트러스트 보안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조합되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요소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 다중 인증(MFA): 비밀번호뿐 아니라 생체인식, OTP 등을 추가해 접근을 강화합니다.
- 엔드포인트 보안: 접속하는 기기의 보안 상태를 점검하고, 기준에 맞지 않으면 차단합니다.
- 암호화: 데이터 전송과 저장 과정에서 강력한 암호화를 적용합니다.
- 마이크로 세분화(Micro-Segmentation): 네트워크를 작은 구역으로 나누어 침입 확산을 방지합니다.
이 외에도 클라우드 접근 보안 브로커(CASB),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IAM) 솔루션이 함께 활용됩니다.
적용 사례
금융권에서는 고객 정보 보호와 내부 직원의 접근 통제를 위해 제로 트러스트 모델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환자 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공공기관에서는 사이버 공격 대응을 위해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원격 근무 환경이 일반화되면서 기업 전반에서 제로 트러스트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장점과 도전 과제
제로 트러스트의 가장 큰 장점은 내부·외부 위협을 동시에 방어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최소 권한 부여와 지속적인 검증을 통해 보안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시스템에 일괄 적용하려면 초기 비용과 관리 부담이 상당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인증 과정이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점진적으로 적용 범위를 넓히고, 사용자 경험(UX)을 고려한 보안 정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향후 전망
글로벌 보안 시장 조사 기관에 따르면, 제로 트러스트 보안 시장은 2030년까지 수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기반 이상 탐지 기술이 결합되면서, 제로 트러스트는 더 정교하고 지능적인 보안 프레임워크로 발전할 것입니다. 클라우드 환경과 하이브리드 워크 환경이 지속되는 한, 제로 트러스트는 사실상 보안의 표준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