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5

워드프레스 서버 설치(5편)

워드프레스는 왜 .com 말고 .org에서 설치형을 쓰는 걸까요? 바로 자유도와 수익화 때문 입니다. 직접 설치하는 워드프레스는 디자인, 플러그인, 광고 전부 내 마음대로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설치 전 준비사항리눅스 기반 서버 (VPS or 클라우드 서버)Ubuntu 20.04 또는 22.04 추천SSH 접속 가능해야 함도메인 (있으면 좋고, 없어도 일단은 테스트 가능!)1단계: 기본 서버 세팅bashsudo apt update && sudo apt upgrade -yLEMP 스택 설치 (Linux + Nginx + MySQL + PHP)bashsudo apt install nginx mysql-server php-fpm php-mysql php-cli php-curl php-xml .. 카테고리 없음 2025. 5. 22.

서버 구축 및 세팅 하는 방법(4편)

서버 세팅. 비개발자가 들은면 정말 어렵게 다가옵니다. 요즘은 VPS,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 서버 모두 편리하게 세팅이 가능하고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 몇개만 익히면 웬만한 서버 세팅은 가능 합니다, 리눅스란 무엇인가?리눅스(Linux)는 오픈소스 기반 운영체제로 우리가 서버에 설치하는 건 대부분 우분투(Ubuntu), CentOS, Debian 같은 리눅스 기반 입니다. 마우스로 클릭하는게 아니라 명령어를 직접 입력해서 조작하는 방식입니다.리눅스 서버 세팅 필수 기본 명령어아래 명령어들만 알아도 서버 세팅 70%는 가능하다고 봐도 됩니다.(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에는 sudo 명령어를 꼭 붙여줘야 제대로 실행 됩니다.)명령어설명pwd현재 위치(디렉토리) 출력ls현재 폴더 안 파일 목록 보기cd 폴더명.. 카테고리 없음 2025. 5. 22.

가상서버(VPS)의 개념과 활용법(3편)

서버에 대해 공부하다보면 VPS(Virtual Private Server)에 대해 들어 보셨을 겁니다. 이번편은 VPS의 개넘부터, 언제 어떻게 써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VPS란?VPS는 ‘가상 사설 서버’의 줄임말 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한 대의 물리적인 서버를 여러 개로 나눠서,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인 공간처럼 제공하는 서버 입니다. 즉, 하나의 진짜 컴퓨터(물리 서버)를 여러 개의 작은 가상 서버로 나누는 것이지요. 각 가상 서버는 CPU, 메모리, 디스크 공간을 나눠서 할당받고, 개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VPS와 공유 호스팅, 서버 호스팅, 클라우드의 차이VPS는 공유 호스팅보다 독립적이면서 서버 호스팅 보다 저렴합니다. 그래서 1인 개발자, 스타트업, 소규모 웹사이트 운영자들이 주.. 카테고리 없음 2025. 5. 22.

서버 호스팅 vs 클라우드 서버 차이점(2편)

웹사이트를 만들 때에는 서버를 결정해야 합니다. 서버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하며 호스팅 방식, 클라우드 방식이 대표적입니다. 오늘은 두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버 호스팅 이란?서버 호스팅은 말 그대로 서버 한대를 임대해서 사용하는 방식 입니다, 예를들면 내가 원하는 사양의 컴퓨터를 IDC 센터에 두고 원격으로 조종하는 느낌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서버 호스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물리적 서버를 통째로 빌립니다. 관리나 유지보수는 호스팅 업체에 맡기기도 하고, 직접하기도 합니다.주로 트래픽이 많고, 보안이 중요하거나,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경우 사용합니다.클라우드 서버란?클라우드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가상서버(VM)를 빌리는 것입니다.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돈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5. 5. 22.

서버란 무엇인가? (1편)

서버라는 단어, 어디서 한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정확히 뭐냐고 물어보면 갑자기 머리가 하얘집니다. 오늘은 그래서 서버에 대해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서버란 무엇인가?서버란 데이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나 프로그램 입니다. 우리가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유튜브에서 영상을 보거나, 메일을 확인하는 그 순간 어딘가에 있는 서버가 쉴새 없이 일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클라이언트(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PC 등)의 요청을 받아서 데이터를 보내주는 고성능 컴퓨터라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서버는 어디에 있을까?서버는 보통 데이터 센터라는 곳에 모여 있습니다. 24시간 365일 쉼 없이 돌아가기때문에 많은 열이 발생 합니다. 그래서 서버가 모여있는 데이터 센터는 쿨링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 카테고리 없음 2025. 5. 22.